Seunghyun Lim임승현 Having spent a long time with animals, I have come to sympathize with Mencius’s theory of human nature being good.

늘 그림이 갖고 있는 세상 속의 역할에 대해 생각하게 된다. 오랜 시간 동물들과 함께 지내면서 나는 맹자의 성선설을 많이 공감하게 됐다.





농사의 신,  2025
강아지 꽃,  2025
화묘도,  2025
농사의 신,  2025
Into the Tree,  2025
화묘도,  2025
가꿔주는 생활,  2024
일월오봉도,  2025
고양이 꽃,  2025







About

동양화를 전공하고 수묵(水墨)인물화(人物)에 심취해 있었다. 동양화의 특성상 먹의 번짐을 이용하고, 숙련된 붓놀림의 표현도 중요하지만, 인물을 소재로 한 그림이라면 관찰자의 입장에서 그들에 대한 애정 어린 시선이 가장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표현 자체에 과한 비중을 두고 힘이 잔뜩 들어갔던 이전의 그림들이 부끄럽게 느껴지기까지 했다. 그때부터 작업을 위해 카메라를 들고 폼 잡으며 준비했던 모든 자료들을 치우고 마음의 눈으로 내가 사랑하는 이들을 가볍게 드로잉 하는 것으로 작업이 다시 출발됐다. 동양화의 선에 의해 표현되는 방식이 만화와 공통점이 많다고 생각됐고, 반복된 드로잉으로 생기는 왜곡되고 풍자적인 형태들이 더 호소력 짙게 다가오는걸 느낄 수 있었다. 나의 그림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과장된 표현과 어린아이 같은 얼굴을 하고 있다. 누구에게나 내재 되어 있는 보호 받아야 했던 상처 많은 현대인들의 자아를 표현한 것이다. 오랜 시간 동물들과 함께 지내면서 나는 맹자(孟子)의 성선설(性善說)을 많이 공감하게 됐다. 하지만 고통받고 궁지에 몰리면 인간이든 동물이든 자신을 보호하려는 본능 또한 나오게 마련이다. 물질만능주의의 현대사회 속에서 선함을 유지하며 살기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나는 그림을 그리며, 늘 그림이 갖고 있는 세상 속의 역할에 대해 생각하게 된다. 그럴 의무도 강요되지도 않는 것이 예술이지만, 그렇지 않기에 쉽게, 또 불필요하게 치부되는 것 또한 예술이다. 나의 그림이 미미(微微)하고 순간적이겠지만 그 선(善)함을 이끌어 낼 수 있기를 소망하며, 그림 속에서 자신의 모습을 발견하는 감상자와의 진솔한 소통을 기대해 본다. 나의 그림에는 인물이 많이 등장한다. 바로 우리들의 모습이다.

I majored in oriental painting and was fascinated by sumi-e (水墨) portraits. In oriental painting, the spread of ink is important, and skilled brushwork is important, but when it comes to paintings featuring people, I thought that the most important thing was the affectionate gaze toward them from the observer’s perspective. I even felt ashamed of my previous paintings that had put too much emphasis on the expression itself and put a lot of effort into them. From then on, I put away all the materials I had prepared while holding the camera and posing for work, and started working again by lightly drawing the people I loved with my mind’s eye. I thought that the way oriental painting is expressed through lines had a lot in common with cartoons, and I could feel that the distorted and satirical forms created by repeated drawings were more appealing. The characters in my paintings have exaggerated expressions and childlike faces. They express the wounded egos of modern people that everyone has and that need to be protected. Having spent a long time with animals, I have come to sympathize with Mencius’s theory of human nature being good. However, when suffering and being cornered, the instinct to protect oneself, whether human or animal, also comes out. It is not easy to live while maintaining goodness in the modern materialistic society. When I draw, I always think about the role that paintings have in the world. Art is something that is not obligated or forced, but because it is not, it is also something that is easily and unnecessarily dismissed. I hope that my paintings can bring out that goodness, even though they are subtle and momentary, and I look forward to sincere communication with the viewer who discovers their own image in the paintings. Many people appear in my paintings. They are our own images.











Download

Career history (pdf)


Website

Instagram








Other Works  작가의 다른 작품

































Artist List






Gallery Vit. 갤러리 빛


11, Jahamun-ro 45-gil, Jongno-gu, Seoul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45길 11


© 2025 Gallery Vit. All rights reserved.

About us
Contact
Insta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