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nyoung Han한만영




시간의 복제 - 명상,  1994
Reproduction of Time - Rousseau, 2019

Reproduction of Time - Matisse, 2006

시간의 복제 - 마그리트,  2007
시간의 복제 - 메아리,  1995
시간의 복제 - 루소,  2016  
시간의 복제 - 파고다,  1996
Reproduction of Time - Flower,  2020
Reproduction of Time - Eakins,  2019
시간의 복제 - 음악가, 1996
시간의 복제 - 보쉬 1, 2019
시간의 복제 - 마그리트 정원, 2017
Reproduction of Time - Bottle, 2017
Reproduction of Time - Beveled Bottle, 2017
Reproduction of Time - Gerard, 2016
시간의 복제 - 푸른 색, 1995
시간의 복제 - 브뤼겔, 2007




About

한만영은 옛 명화나 기성 이미지, 오래된 기계 부품 등을 시간 및 공간적 관계를 설정하는 조형요소로 삼아 동양과 서양, 과거와 현재, 예술과 일상, 그리고 현실과 비현실 사이(間)를 자유로이 넘나드는 작업을 선보여왔다. 그의 작품은 이질적인 요소들이 서로 충돌하고 통합되며 끊임없이 변화하는 가운데 시공간의 한계를 넘어선 새로운 세계를 그려낸다. 한만영 작업 세계를 지배하는 근본적 질문은 바로 “시간”과 “공간”이다. 시간을 복제하고 공간의 시원을 탐구하는 것으로 이 질문은 구체화된다. 그렇다면 이러한 물음은 어떻게 재현되는가? 바로 앗상블라주에 의해서다. 그의 작업 세계를 아우르는 앗상블라주는 근대적인 사고 체계를 반영한다. 왜냐하면 그것은 전체로서의 세계, 신학적 세계관과 달리 이질적인 파편들의 조합으로 구축된 근대성의 비유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한만영의 앗상블라주는 공간 속에 시간을 기입하고 시간의 흔적을 공간 안에 배치 또는 확장하기에 무엇보다 작가의 정신과 태도를 드러내는 장치이다. 여기서 앗상블라주는 조형적 방법론을 넘어선 철학적 차원의 탐구로 보아야 할 것이다.

Taking old masterpieces, ordinary images or old machine parts as figurative elements, Han has been creating works that freely move between the West and East, past and present, art and daily life, and reality and non-reality. Disparate elements clash and integrate with one another in his works,continuously transforming, through which a new world is portrayed which goes beyond the limits of time and space. The fundamental questions underlying Han's oeuvre are "time" and "space," which are specified by reproducing time and exploring the origins of space. To compare, the artist is similar to a philosopher or anthropologist who searches for "the origin of the world." Then how are these questions represented? In assemblage. Assemblage, which dominates Han's body of work, reflects a modernist way of thinking; for it can be viewed as a metaphor for modernity that is constructed by the combination of disparate fragments, unlike a holistic world or mythological world view. Meanwhile, Han Man-Young's assemblage reveals above all the artist's vision and spirit as it inscribes time inside space and also arranges or extends traces of it inside space. Here we should see assemblage as an investigation on a philosophical level beyond a formative methodology.








Download

Career history (pdf)






Other Works  작가의 다른 작품





































































































































































Artist List




Gallery Vit. 갤러리 빛


11, Jahamun-ro 45-gil, Jongno-gu, Seoul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45길 11


© 2025 Gallery Vit. All rights reserved.

About us
Contact
Instagram